내가 작업한 작업물과 원격 저장소의 작업물이 일치 하지 않을때 그냥 push는 진행되지 않기때문에
git fetch로 원격저장소의 커밋을 가져온뒤 rebase를(또는 merge) 하여 합친 뒤 다시 push로 보내야 한다
git pull --rebase 또는 git pull (이 상태는 merge)
원격저장소의 main이 잠겨있을경우 branch를 만들어 작업을 해서 올린다
1. 원격 명령어
원격 저장소에 있는 것을 로컬로 불러오는 데 특정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, 반대로도 할 수 있다
git push - 로컬 커밋을 원격저장소로 업데이트 및 원격저장소의 브랜치를 업데이트
git pull - fetch & merge
fetch <remote> <place>
<place> - < source : destinaiton > 브랜치 이름
colon refspec으로 source:destination
git bash
2. 이외의 명령어
Unix
cd : change directory
mkdir : make directory
touch : make a file
git config : 설정
git add : 스테이징 영역 추가
git restore : 스테이징 된 파일을 되돌리는 것 (변경사항 폐기)
git log : 그래프를 보여줌 (show history)
git init : 레포지토리 생성 (initialize repository)
git status : 레포지토리 상태를 확인
3. git의 동작
HEAD : 어떤 브랜치를 가리키는지의 대한 내용이 담겨있음
ref/heads 에 브랜치에 대한 파일이 있다
> 해당 파일의 이름은 브랜치의 이름
> 그 파일에는 커밋 ID가 있다 (해시값)
ref/tags 에 태그에 대한 파일이 있다
> 해당 파일의 이름은 태그의 이름
> 그 파일에는 해시값이 있다
objects에는 변경 사항이 저장되어 있음. => 각 커밋의 내용
4. vi 사용법
명령어 모드와 편집 모드
> i키를 누르면 편집모드
> esc키를 누르면 명령어 모드
파일을 저장하고 나가려면 :(콜론)wq (write & quit)
'메타버스 1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/25 C언어 기본 개념, 객체, 분기문(조건문) (0) | 2022.04.25 |
---|---|
4/21 컴퓨터 동작 원리 (0) | 2022.04.21 |
4/18 버전 관리 시스템과 Git 명령어, 연습 (0) | 2022.04.18 |
4/15 복습과제 (0) | 2022.04.15 |
4/14 탈출 게임 설명과 업그레이드하기 (0) | 2022.04.14 |